티스토리 뷰
목차
2. 의복의 기능
6) 상징성
a. 지위, 직업을 나타내는 유니폼
군복은 군인의 직업을 상징적으로 알린다.
b. 모임의 구성원을 나타내는 의상- 스카우트 단원 의상, 중고등학교 교복
왼쪽그림; 스카우트 단원임을 설명하는 스카우트복 (월간 스카우트 표지)
7) 자아의 연장
위그림의 목이 높은 칼라는 고귀함과 위엄을 상징하며 신체(목)를 연장한다.
위그림;중세기사 갑옷은 신체보호 뿐만아니라 딱딱한 갑옷이 신체의 연장으로 인식된다
위그림;무용복은 무용인의 신체를 연장시키는 도구이다. 이 인도무용수는 손톱깍지를 사용하여 손가락을 길게 인식하게 한다.
위의 무대복은 배우의 신체를 연장시키는 도구로서 사용된다
-이상과 같이 의복의 기능은 신체보호설, 심리적보호설, 정숙설, 비정숙설, 장식설, 상징성, 자아의 연장기능으로 나누어 살표보았다
의복의 기원과 관련지어 의복의 기능을 살펴본 것이고 현대사회에서는 의복의 의상심리학적 기능을 더 상세하게 세분화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사람은 자신이 인지하지못할지라도 의상으로서 자신을 표현한다.
이것은 즉 의상이 또 다른 자아의 표현수단이 것이다.
따라서 의상으로 표현하는 자신을 분석하는 것도 자아의 정체성을 연구하는 또다른 방편이 되기도 한다.
이것은 또한 한 사회의 혹은 한 시대의 사회의 현상을 읽어내는 도구로서 의상이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