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패션산업과 디자이너의 역할 1) 패션산업이란 • 패션산업(유행산업)은 일반적으로 의류산업을 일컫는 말로서 Fashion Industry, 즉 유행 상품의 생산과 판매에 관련되는 모든 산업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물업, 의류제조업, 의류판매업, 부자재 제조업(실, 단추, 지퍼, 심지, 안감 등등...)등과 패션과 관련되는 액세서리, 패션관계의 출판업, 교육산업, 패션광고업 등등을 들 수 있다. 때로는 좁은 의미로서 의류산업만을 패션산업으로 보기도 한다. 2) 패션산업의 성격 (1) 패션산업은 부가가치적인 산업이다. •-패션산업은 상품이 지닌 물리적 가치외에 심리적 가치를 창조하는 산업으로서 부가가치적인 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즉 특정한 옷을 구매하므로서 그 옷이 지니는 신체를 덮는 기능 ..

현대사회의 유행 1) 현상으로서의 유행 현대사회에서 나타나는 유행은 사회전반에 걸쳐 모든 분야에 적용되는 거대한 사회적인 현상이다. 시각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대부분의 시각적 자극물은 유행현상을 수반하며 이에 따라 대중의 공통적인 수요현상이 발생한다. 2) 유행의 정의 •유행이란 일정한 시기에 대중에 의해 사회적으로 승인되고 변화하는 집합적인 사회적 행동이다. •유행과정에 있어서 스타일(style)과 취향(taste)의 구별이 필요한데 스타일은 유형의 물질적 대상(예-힙합스타일-헐렁한 청바지와 벙거지모자, 헐렁한 티셔츠)인데 반하여 취향(당신이 좋아하는 형-당신이 강한 칼라와 활동적으로 보이며 편한 스타일을 좋아한다면 힙합 스타일이 당신의 취향이 될 수도 있지요)은 무형의 사회적 대상으로서 사회적 상호작..

빅토리아 시대 •영국의 빅토리아 여왕의 시대는 경제적인 번영의 시대였다. 고급 양장점이 출현했으며 패션은 중산계급에 의해 주도되었다. •남성은 주간정장으로 프록코트를 입고 야회용 정장으로는 테일코트를 입었으며 비즈니스형의 허리를 조이지 않는 일자형의 것이 유행했다. 바지는 일자형 통바지를 입었으며 허벅지가 꼭끼는 무릎길이의 브리치즈는 거의 사라졌다. •그림에서 남성은 톱 코트와 토퍼(모자)에 지팡이를 들고 있다. 여성은 크리놀린이라는 스커트 버팀대(아래그림)가 등장했으며 7부길이의 오버코트의 일종인 카자크를 입고 있다. 두 그림은 크리놀린 속에 속 바지를 입은 모습과 그 위에 드레스를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다. 세기말 시대-버슬시대 (1870년부터 1900년) •이 시기는 의상에 있어서 버슬의 시대이다. ..

낭만주의 시대(1815-1850년) •1815년이후 유럽은 산업혁명으로 인한 부의 확산으로 인해 패션이 귀족의 전유물이 아닌 일반 중산층에도 소유하게 되었으며 시인 바이런의 열풍과 함께 낭만주의 사상이 대 유행하였다. 섬유산업의 발전과 재봉틀의 발명은 기성복과 대량생산의 원동력이 되었다. •사람들은 멋을 내기 시작했으며 남성이 더 심했다. 남성복은 역사상 최초로 매우 가는 허리를 강조하는 스타일이 등장했으며 아래 풍자만화가 보여주듯이 코르셋으로 허리를 조여서 허리를 강조했다. 그림에서 왼쪽 남성은 싱글 여밈의 프록코트(FROCK COAT)를 착용했고 오른쪽 그림은 싱글 여밈의 칼라가 높으며 짧은 케이프가 달린 긴 코트를 착용했으며 모자는 중산모로서 차양의 양 옆이 살짝 구부러진 것을 착용했다. 왼쪽그림의..

신고전주의시대 (1789-1814년) •자유, 평등, 박애라는 정신을 지닌 프랑스혁명은 의복의 형식 및 의복 구조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를 불러왔다. 모든 복식은 간편함을 추구하는 쪽으로 변화하였다. 공포정치시기에는 허식이나 특권, 부를 상징하는 것은 곧 단두대를 의미했기 때문이다. 자유, 평등, 박애라는 프랑스혁명의 근본정신과 함께 의상의 스타일은 파리를 중심으로 서부유럽으로 퍼져나갔다. 복식은 남녀모두 간편함을 주구하는 쪽으로 변화되었으며 나폴레옹의 등장과 함께 제국시대(Empire Period)로 일컬어졌다. •18세기 초에 이루어진 폼페이와 헤르쿨라네움의 발견은 고대 그리스, 로마시대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켰으며 프랑스 여성들은 이 고대도시들의 의상스타일에서 영감을 얻은 의상을 착용하였다. ..

로코코시대 18세기 •1789년 프랑스혁명 전까지의 패션의 시대는 그 어느때 보다 미적완성미가 뛰어났던 우아한 품위의 시대이다. 세계는 진보적인 기술의 발전으로 직조기술이 발달하여 품질이 뛰어난 직물이 생산되었다. 이 로코코시대의 여성의 드레스는 현재 우리사회의 웨딩드레스에서도 그 자취를 볼 수 있다. 흔하게 사용되어온 현재의 웨딩드레스에서 볼 수 있는 스타일은 이 시대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여성의 우아한 미를 가장 완벽하게 보여줄 수 있는 여성드레스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위 그림은 1731년의 색가운(SACK GOWN), 와또 가운(WATTEAU GOWN)이라고 불리는 드레스를 나타낸다. 넓게 파인 뒷목선에서 시작된 주름이 땅에까지 끌리며 우아하게 퍼진다. 안에 입고..

바로크 시대 (17세기) 바로크는 일그러진 진주라는 의미이다. 바로크 시대는 장식과잉으로 불려질 수 있을 만큼 과도한 장식이 특징이다. •전쟁등의 시대적인 상황에 의해 과장되고 복잡한 르네상스 시대의 의상에서 벗어나 복식의 빠른 변화를 나타낸 시대이다. 바로크시대 배경영화 •남성의상; 1630년 까지 속심을 넣은 패딩은 사라지고 엉덩이에는 옆으로 퍼진 패플럼이 달려있지만 전 시대에 비해 남성의 의상은 훨씬 자연스럽고 부드러워졌다. •여성의상은 앞의 스토마커에 정교한 자수를 놓은 흔적이 전시대에 남아있으며 스토마커 밑단에 달린 페플럼도 남아 있다. 후에 이 스토마커는 점점 작아지며 허리선이 높아졌는데 이것은 이 17세기동안 가장 빠르게 변화한 부분이다. • 바로크시대에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루프장식이 남성의..

초기 르네상스 시대 (15세기 말) •15세기패션은 새로운 예술적 에너지를 반영한 듯 중세와 철저하게 다른 양상을 나타냈으며 세속적인 생활의 영향력이 종교적인 편견을 압도했으며 의복은 신분과 물질적 풍요의 공공연한 수단이 되었다. 다음의 세기에서 나타난 의상들의 전형적인 특성들이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여성들은 넓게 퍼지는 치마를 위해 허리를 본래의 허리선으로 내린 유형이 나타났다. •위 그림은 스위스의 근위병들로서 옷의 부피가 전 시대에 비해 커진 것을 알 수 있으며 뚜렷한 색상의 대비를 볼 수 있다. •그림은 15세기 말 이태리여성으로서 여성 로브의 목둘레선이 더욱 넓어지고 깊게 파였으며 소매는 안의 슈미즈가 보이도록 장식하였다. 이 목둘레선은 16세기에도 지속적으로 유행한다. 르네상스 시대 (16세기)..

중세시대 후기 - 15세기 •동양에서 수입되던 실크가 유럽에서도 생산됨, 린넨, 면, 벨벳, taffeta(광택이 있는 평직 실크 직물)가 유행하였다.사치금지령이 무시되어지며 다양한 스타일의 의상이 나타난 시기이다. •남성의 의상은 짧아지고 소매는 좁은 doublet을 입었으며 이것은 pourpoint, jupe, cote-hardie라고 불리기도 하였다. 여성은 뾰족한 구두와 짧은 케이프인 후드 달린 샤프롱이 유행했으며 후드에 달린 일종의 테펫인 liripipe는 점차 길어져서 땅에 끌리기도 하였으며 차차 머리를 터번식으로 감아서 장식하였다. 다양한 머리장식이 유행했다. •위 두개의 그림은 사냥파티의 한 장면이다.남성의 상의인 pourpoint과 다양한 머리장식물-모자-을 볼 수 있으며 여성들은 하이웨..

중세시대 후기-14세기 •전체보다 개인의 개성이 드러나는 의상이 나타나는 시기 •의복에 대한 법률로서 의복의 계급구조가 형성되며 가문을 나타내는 문장으로 의상을 장식함 •신체에 맞게 재단된 의상의 유행하였으며 남성의 의상은 짧아졌고 여성의 의상은 상의는 몸에 맞고 하의는 주름이 있고 길다. •아래 이미지의 언더 로브는 꼭 맞는 보이스와 플레어 스커트, 팔꿈치부터 단추를 채운 손목길이의 폭이 좁은 소매로 이루어져 있다. •아래그림에서 가운데 여성은 blue와 yellow-green의 가문을 상징하는 문장으로 이루어진 under-robe를 착용하고 있고 오른쪽의 여성은 장식커프스인 tipet이 달리고 목선이 깊게 파이며 옷길이가 매우 길어서 땅에 끌리는 cote-hardie를 입고 있다. 아래 그림에서 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