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패션산업과 디자이너의 역할 1) 패션산업이란 • 패션산업(유행산업)은 일반적으로 의류산업을 일컫는 말로서 Fashion Industry, 즉 유행 상품의 생산과 판매에 관련되는 모든 산업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물업, 의류제조업, 의류판매업, 부자재 제조업(실, 단추, 지퍼, 심지, 안감 등등...)등과 패션과 관련되는 액세서리, 패션관계의 출판업, 교육산업, 패션광고업 등등을 들 수 있다. 때로는 좁은 의미로서 의류산업만을 패션산업으로 보기도 한다. 2) 패션산업의 성격 (1) 패션산업은 부가가치적인 산업이다. •-패션산업은 상품이 지닌 물리적 가치외에 심리적 가치를 창조하는 산업으로서 부가가치적인 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즉 특정한 옷을 구매하므로서 그 옷이 지니는 신체를 덮는 기능 ..

현대사회의 유행 1) 현상으로서의 유행 현대사회에서 나타나는 유행은 사회전반에 걸쳐 모든 분야에 적용되는 거대한 사회적인 현상이다. 시각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대부분의 시각적 자극물은 유행현상을 수반하며 이에 따라 대중의 공통적인 수요현상이 발생한다. 2) 유행의 정의 •유행이란 일정한 시기에 대중에 의해 사회적으로 승인되고 변화하는 집합적인 사회적 행동이다. •유행과정에 있어서 스타일(style)과 취향(taste)의 구별이 필요한데 스타일은 유형의 물질적 대상(예-힙합스타일-헐렁한 청바지와 벙거지모자, 헐렁한 티셔츠)인데 반하여 취향(당신이 좋아하는 형-당신이 강한 칼라와 활동적으로 보이며 편한 스타일을 좋아한다면 힙합 스타일이 당신의 취향이 될 수도 있지요)은 무형의 사회적 대상으로서 사회적 상호작..

빅토리아 시대 •영국의 빅토리아 여왕의 시대는 경제적인 번영의 시대였다. 고급 양장점이 출현했으며 패션은 중산계급에 의해 주도되었다. •남성은 주간정장으로 프록코트를 입고 야회용 정장으로는 테일코트를 입었으며 비즈니스형의 허리를 조이지 않는 일자형의 것이 유행했다. 바지는 일자형 통바지를 입었으며 허벅지가 꼭끼는 무릎길이의 브리치즈는 거의 사라졌다. •그림에서 남성은 톱 코트와 토퍼(모자)에 지팡이를 들고 있다. 여성은 크리놀린이라는 스커트 버팀대(아래그림)가 등장했으며 7부길이의 오버코트의 일종인 카자크를 입고 있다. 두 그림은 크리놀린 속에 속 바지를 입은 모습과 그 위에 드레스를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다. 세기말 시대-버슬시대 (1870년부터 1900년) •이 시기는 의상에 있어서 버슬의 시대이다. ..

낭만주의 시대(1815-1850년) •1815년이후 유럽은 산업혁명으로 인한 부의 확산으로 인해 패션이 귀족의 전유물이 아닌 일반 중산층에도 소유하게 되었으며 시인 바이런의 열풍과 함께 낭만주의 사상이 대 유행하였다. 섬유산업의 발전과 재봉틀의 발명은 기성복과 대량생산의 원동력이 되었다. •사람들은 멋을 내기 시작했으며 남성이 더 심했다. 남성복은 역사상 최초로 매우 가는 허리를 강조하는 스타일이 등장했으며 아래 풍자만화가 보여주듯이 코르셋으로 허리를 조여서 허리를 강조했다. 그림에서 왼쪽 남성은 싱글 여밈의 프록코트(FROCK COAT)를 착용했고 오른쪽 그림은 싱글 여밈의 칼라가 높으며 짧은 케이프가 달린 긴 코트를 착용했으며 모자는 중산모로서 차양의 양 옆이 살짝 구부러진 것을 착용했다. 왼쪽그림의..

신고전주의시대 (1789-1814년) •자유, 평등, 박애라는 정신을 지닌 프랑스혁명은 의복의 형식 및 의복 구조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를 불러왔다. 모든 복식은 간편함을 추구하는 쪽으로 변화하였다. 공포정치시기에는 허식이나 특권, 부를 상징하는 것은 곧 단두대를 의미했기 때문이다. 자유, 평등, 박애라는 프랑스혁명의 근본정신과 함께 의상의 스타일은 파리를 중심으로 서부유럽으로 퍼져나갔다. 복식은 남녀모두 간편함을 주구하는 쪽으로 변화되었으며 나폴레옹의 등장과 함께 제국시대(Empire Period)로 일컬어졌다. •18세기 초에 이루어진 폼페이와 헤르쿨라네움의 발견은 고대 그리스, 로마시대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켰으며 프랑스 여성들은 이 고대도시들의 의상스타일에서 영감을 얻은 의상을 착용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