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코코시대 18세기 •1789년 프랑스혁명 전까지의 패션의 시대는 그 어느때 보다 미적완성미가 뛰어났던 우아한 품위의 시대이다. 세계는 진보적인 기술의 발전으로 직조기술이 발달하여 품질이 뛰어난 직물이 생산되었다. 이 로코코시대의 여성의 드레스는 현재 우리사회의 웨딩드레스에서도 그 자취를 볼 수 있다. 흔하게 사용되어온 현재의 웨딩드레스에서 볼 수 있는 스타일은 이 시대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여성의 우아한 미를 가장 완벽하게 보여줄 수 있는 여성드레스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위 그림은 1731년의 색가운(SACK GOWN), 와또 가운(WATTEAU GOWN)이라고 불리는 드레스를 나타낸다. 넓게 파인 뒷목선에서 시작된 주름이 땅에까지 끌리며 우아하게 퍼진다. 안에 입고..

바로크 시대 (17세기) 바로크는 일그러진 진주라는 의미이다. 바로크 시대는 장식과잉으로 불려질 수 있을 만큼 과도한 장식이 특징이다. •전쟁등의 시대적인 상황에 의해 과장되고 복잡한 르네상스 시대의 의상에서 벗어나 복식의 빠른 변화를 나타낸 시대이다. 바로크시대 배경영화 •남성의상; 1630년 까지 속심을 넣은 패딩은 사라지고 엉덩이에는 옆으로 퍼진 패플럼이 달려있지만 전 시대에 비해 남성의 의상은 훨씬 자연스럽고 부드러워졌다. •여성의상은 앞의 스토마커에 정교한 자수를 놓은 흔적이 전시대에 남아있으며 스토마커 밑단에 달린 페플럼도 남아 있다. 후에 이 스토마커는 점점 작아지며 허리선이 높아졌는데 이것은 이 17세기동안 가장 빠르게 변화한 부분이다. • 바로크시대에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루프장식이 남성의..

초기 르네상스 시대 (15세기 말) •15세기패션은 새로운 예술적 에너지를 반영한 듯 중세와 철저하게 다른 양상을 나타냈으며 세속적인 생활의 영향력이 종교적인 편견을 압도했으며 의복은 신분과 물질적 풍요의 공공연한 수단이 되었다. 다음의 세기에서 나타난 의상들의 전형적인 특성들이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여성들은 넓게 퍼지는 치마를 위해 허리를 본래의 허리선으로 내린 유형이 나타났다. •위 그림은 스위스의 근위병들로서 옷의 부피가 전 시대에 비해 커진 것을 알 수 있으며 뚜렷한 색상의 대비를 볼 수 있다. •그림은 15세기 말 이태리여성으로서 여성 로브의 목둘레선이 더욱 넓어지고 깊게 파였으며 소매는 안의 슈미즈가 보이도록 장식하였다. 이 목둘레선은 16세기에도 지속적으로 유행한다. 르네상스 시대 (16세기)..

중세시대 후기 - 15세기 •동양에서 수입되던 실크가 유럽에서도 생산됨, 린넨, 면, 벨벳, taffeta(광택이 있는 평직 실크 직물)가 유행하였다.사치금지령이 무시되어지며 다양한 스타일의 의상이 나타난 시기이다. •남성의 의상은 짧아지고 소매는 좁은 doublet을 입었으며 이것은 pourpoint, jupe, cote-hardie라고 불리기도 하였다. 여성은 뾰족한 구두와 짧은 케이프인 후드 달린 샤프롱이 유행했으며 후드에 달린 일종의 테펫인 liripipe는 점차 길어져서 땅에 끌리기도 하였으며 차차 머리를 터번식으로 감아서 장식하였다. 다양한 머리장식이 유행했다. •위 두개의 그림은 사냥파티의 한 장면이다.남성의 상의인 pourpoint과 다양한 머리장식물-모자-을 볼 수 있으며 여성들은 하이웨..

중세시대 후기-14세기 •전체보다 개인의 개성이 드러나는 의상이 나타나는 시기 •의복에 대한 법률로서 의복의 계급구조가 형성되며 가문을 나타내는 문장으로 의상을 장식함 •신체에 맞게 재단된 의상의 유행하였으며 남성의 의상은 짧아졌고 여성의 의상은 상의는 몸에 맞고 하의는 주름이 있고 길다. •아래 이미지의 언더 로브는 꼭 맞는 보이스와 플레어 스커트, 팔꿈치부터 단추를 채운 손목길이의 폭이 좁은 소매로 이루어져 있다. •아래그림에서 가운데 여성은 blue와 yellow-green의 가문을 상징하는 문장으로 이루어진 under-robe를 착용하고 있고 오른쪽의 여성은 장식커프스인 tipet이 달리고 목선이 깊게 파이며 옷길이가 매우 길어서 땅에 끌리는 cote-hardie를 입고 있다. 아래 그림에서 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