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그리스와 로마의 시대 (1) 그리스 (B.C. 12C - 3C) 도리아식과 이오니아식의 기본적인 긴 튜닉형 드레스 (=키톤) 가 기본 의상이다. 키톤위에 망토를 걸치는 것이 일반형이다. 도리아식 키톤 ; 긴사각형의 천을 어깨에서 핀으로 고정 관련영화 살펴보기 (2) 에트루리아인과 로마인(B.C 500 - A.D. 330) 튜닉과 망토의기본형으로서 그리스의상이 다소 변형된 형태이다. 3) 중세시대 전기 (B.C. 5C - A.D.11C) • 중세시대 전기는 기독교가 로마에 공인된 이후의 시대이다. 모든 문화적 배경에 기독교가 등장한다. 도시는 성당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성직자가 사회지도자그룹을 형성하며 성직자 패션이 일반인에게도 영향을 준다. 십자군 전쟁이라는 커다란 전쟁이 일어나기까지 의상은 오랜동안..

(1) 메소포타미아문명(BC 3000년경) 티그리스와 유프라테스강가의 수메르인의 의상 보풀이 많은 긴 모직 스커트 (2) 바빌로니아문명(기원전 2500년경) 보다 얇은 모직물의 의상. 후에 그리스 의상의 모체가 된다. 사각의 천을 몸에 두른 모양이다. 권의형이라고도 하며 긴 천을 몸에 두른 형태이다. 끝에 라인을 대어서 신분을 표시하기도 한다. (3) 앗시리아인 문명(BC 1500년경) 긴 사각자루형의 튜닉위에 술이 달린 숄을 걸친 형 권의형이며 접어서 걸치는 형식이다. (4) 페르시아인 (B.C. 700년경) 러시아 투르키스탄지역에서 온 산악민족-역사상 처음으로 옷을 재단해서 몸에 맞는 형으로 재단된 소매와 바지가 있는 최초의 의상형태를 갖추고 있다. (5)이집트(B.C. 4000년경) 동물가죽을 사용..

2. 의복의 기능 6) 상징성 •착용자의 지위, 직업, 종교, 모임의 구성원을 나타내기 위한 목적으로 의복을 착용하는 것 a. 지위, 직업을 나타내는 유니폼 군복은 군인의 직업을 상징적으로 알린다. b. 모임의 구성원을 나타내는 의상- 스카우트 단원 의상, 중고등학교 교복 왼쪽그림; 스카우트 단원임을 설명하는 스카우트복 (월간 스카우트 표지) 7) 자아의 연장 •착용의상을 신체의 연장으로 인식하여 의복을 착용하는 것 위그림의 목이 높은 칼라는 고귀함과 위엄을 상징하며 신체(목)를 연장한다. 위그림;중세기사 갑옷은 신체보호 뿐만아니라 딱딱한 갑옷이 신체의 연장으로 인식된다 위그림;무용복은 무용인의 신체를 연장시키는 도구이다. 이 인도무용수는 손톱깍지를 사용하여 손가락을 길게 인식하게 한다. 위의 무대복은 ..

2.의복의 기능 5) 장식설 •인간의 장식에 대한 본능적 욕구로 인한 의복착용 동기설이다. 즉, 미의 기준은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르므로 인종, 시대, 환경에 따라 장식 방법이 매우 다르다. • a. 신체의 변형으로 장식하는 욕구; 문신, 상흔, 변형 아래그림; 영구적인 장식방법인 상흔으로 장식한 흑인 b. 성적인 매력을 위한 장식; 남성다움 혹은 여성다움으로서 아름답게 보이기 위해 장식하는 것 위의 이미지는 가슴의 노출과 얇은 옷감으로 신체를 드러낸 여성스러움을 강조한 1811년 엠파이어스타일의 프랑스의상이다. 상체를 강조해서 권위를 강조하고 다리를 날씬하게 보이게 만든 남성스러움을 강조한 헨리8세 의상이미지이다. c. 트로피즘 - 착용자의 힘, 용기, 기술을 과시하기 위한 장식물을 몸에 장식하는 것,..

1. 의복의 기원 •최초의 의복은 5-30만년전 초기 수렵인과 유목민들의 추위를 막기 위한 의복으로서 4만년전의 '호모 에렉투스'는 가죽으로 만든 엉덩이 덮개를 착용한 것으로 추측된다. •위 그림의 초기 인류인 크로마뇽인(1-4만년전 후기 구석기시대)은 골침 (뼈로 만든 바늘)(왼쪽 밑)으로 의복을 만들었으며 이로서 구석기 초기부터 의복착용이 추측된다. •성경 창세기에는 아담의 무화과 나무잎으로 만든 가리개와 가죽으로 된 의상착용에 대한 언급이 있어 인류최초의 의상은 나뭇잎 혹은 가죽의상인 것을 알수있다. 2. 의복의 기능 1) 신체 보호설 •추위나 위험으로부터의 신체의 보호로 인한 의복 착용 동기설이다. - 신체의 성기를 보호하기위한 초기인류의 에프런형 신체보호형 의상은 널리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이..